khc9914 2024. 2. 29. 10:05

CBDC: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 화폐.

장점

1. 수수료 절감

2. 금융 혁신 (전통적 화폐와 디지털 자산을 연계하는 매개자 역할)

→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확대 / 디지털 자산의 거래를 CBDC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2024년부터 주요 국가들의  CBDC 실증 실험 본격화.

민간주도의 스테이블 코인 규제는 강화하면서 기존의 화폐 시스템 보강을 추진 중.

 

1. 역내 지급결제

CBDC(도매)를 담보로 하여 예금 토큰을 발행해 소매로 유통.

바우처, 탄소배출권 결제 연동 등.

 

2. 국경 간 결제

다른 국가의 중앙은행과의 결제 시스템 구축.

기존 SWIFT 대비 365일, 24시간 거래 가능하며 거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

 

3. 생태계 구축

디지털 거래소, 토큰증권 발행 플랫폼 추진.

 

CBDC는 기존 현금의 단점인 위조화폐, 분실의 단점을 극복하며 현금 없는 사회를 가속화.

카드 시장도 잠식될 가능성 존재. (삼성페이 등의 모바일 간편 결제 증가)

 

토큰증권, NFT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과의 연동이 가능.

디지털 자산 거래 전반을 CBDC 시스템으로 모니터링하여 디지털 자산의 안정성과 제도화에 기여.

 

다양한 디지털 기술 (AI, 마이데이터)과 연계하여 개인 맞춤형 금융 서비스가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