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준비
2024 경제 전망
khc9914
2024. 2. 29. 10:35
2023년 국내 경기
1. 중앙은행 목표치를 초과하는 물가 상승률
2. 금리 인상
3. 글로벌 교역 둔화
4. 경제 성장률 1% 초반
2024년 국내 경기
1. 물가 상승률의 점진적 안정
2. 금리 인하
3. 글로벌 교역의 증가
4. 경제 성장률 2% 초반
특히, 메모리 반도체의 교역이 빠르게 증가하며 국내 경제의 반등을 이끌 것.
하지만 경제 회복에도 불구하고 2% 초반의 성장률은 과거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
→ 저성장 고착화에 대한 우려가 증대
대외 구조적 불안요인 부각
1. 팬데믹 상흔 효과
통상적으로 심각한 경제 침체 이후에는 고용 감소, 자본 축적 부진, 생산성 둔화로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잠재성장률이 하락하는 등 중장기적으로 경제 충격의 영향이 지속.
2. 통화 긴축의 장기적 효과
금리 인상 충격이 단기를 넘어 중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
→ 금리 1% 상승 시 12년 후 투자 -4%, 생산성 -3%, GDP -5%
통화 완화의 긍정적 영향은 제한적이고, 통화 긴축의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고 장기적이다.
3. 글로벌 분절화
세계 교역 위축, 비효율적 자원배분
대내 구조적 불안요인 부각
1. 수출 회복력 저하
글로벌 분절화로 세계 교역 위축, 수출의 부정적 영향 확대 (특히, 중국의 성장률 저하가 큰 영향)
2. 가계부채 누증
원리금상환부담 확대로 소비를 위축, 금융 기간의 건전성 악화.
3. 인구변화 가속화
저출산 + 고령화
노동 투입 감소화 부양 부담 확대로 장기 성장에 부정적.